사용자(User)
웹사이트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사람
웹사이트에 접속하고, 검색을 하고, 버튼을 클릭하는 모든 행위를 하는 주체가 사용자
- 사용자의 역할
- 클라이언트(브라우저, 앱 등)를 조작하여 서버와 상호작용
-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조회하는 등의 활동 수행
- 웹 서비스나 앱을 소비하는 최종 주체
클라이언트(Client)
사용자가 서버와 통신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그램 또는 장치
사용자가 서버에 요청을 보내고 응답을 받는 역할
- 클라이언트의 역할
-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서버에 요청을 보냄 (예: 검색어 입력 후 엔터)
- 서버의 응답을 받아 사용자에게 보여줌 (예: 검색 결과 표시)
- 클라이언트의 종류
- 웹 브라우저 → 크롬(Chrome), 엣지(Edge), 사파리(Safari) 등
- 모바일 앱 → 인스타그램, 유튜브, 네이버 앱 등
- 데스크톱 앱 → 슬랙(Slack), VS Code 등
- CLI(Command Line Interface) 프로그램 → curl, wget, Postman 등
- IoT 기기 → 스마트 스피커, 스마트워치 등
서버(Server)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아 처리하고,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시스템
- 서버의 역할
-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고 처리한 후 응답을 보냄
- 데이터베이스(DB)와 연결하여 정보를 저장하거나 불러옴
- 인증(로그인), 권한 관리, 데이터 연산 등의 기능 수행
- 서버의 종류
- 웹 서버 →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서버 (ex: Apache, Nginx)
- 애플리케이션 서버 →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하는 서버 (ex: Node.js, Express)
- 데이터베이스 서버 →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서버 (ex: MySQL, MongoDB)
- 파일 서버 → 파일을 저장하고 제공하는 서버 (ex: Google Drive, Dropbox)
서버와 리소스 접근의 기초: IP, DNS, URL
식당에서 음식을 서빙하는 것처럼, 서버는 클라이언트에게 데이터를 전달한다.반대로 클라이언트는 서버에게 정보를 요청하여 이를 받아가는 역할을 한다. 클라이언트 측 개발은 주로 프론트
zing829.tistory.com
내가 궁금한 것 : 그렇다면 구글이나 네이버는 뭘까? 서버????클라이언트??
구글과 네이버는 수많은 서버로 구성된 대형 플랫폼이다.
네이버와 구글은 서버가 포함된 대형 플랫폼이고, 클라이언트는 네이버의 서버와 통신하는 프로그램이다.
내가 궁금한 것 : 대형플랫폼?? 웹사이트가 아니라??
사이트와 플랫폼의 차이 정리
웹사이트 (Website) | 플랫폼 (Platform) | |
정의 | 인터넷에서 정보를 제공하는 페이지 | 서비스나 기능을 제공하는 기반 |
기능 | 단순한 정보 제공 (정적 페이지) | 사용자가 직접 참여하거나 기능을 확장 가능 |
예시 | 개인 블로그, 회사 소개 사이트 | 네이버, 유튜브, 쿠팡, 인스타그램 |
모든 사이트가 플랫폼은 아니지만, 네이버, 구글, 유튜브 같은 사이트는 플랫폼 역할도 하는 웹사이트다!
'IT 알쓸신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노레포 접근법 (0) | 2025.03.19 |
---|---|
프로그래밍 언어와 기술 ? (0) | 2025.03.04 |
GitHub 원격 저장소와 연결하고 변경 사항 푸시하기 (0) | 2025.01.24 |
프레임워크와 라이브러리의 차이점 (0) | 2025.01.01 |
동기 I/O와 비동기 I/O가 무엇일까? (2) | 2025.0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