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Hub 원격 저장소와 연결하고 변경 사항 푸시하는 방법 !! 푸시푸시 베이베
1. Git 저장소 초기화
새로운 프로젝트에서 Git 버전 관리를 시작하려면 먼저 로컬 디렉토리에서 Git 저장소를 초기화해야 한다.
git init
2. GitHub 원격 저장소 연결
GitHub에서 생성한 원격 저장소의 URL을 로컬 Git 저장소와 연결
git remote add origin <GitHub 레포지토리 URL>
원격 저장소가 정상적으로 추가되었는지 확인
git remote -v
3. 변경 사항 스테이징
로컬 저장소에서 변경된 모든 파일을 GitHub 원격 저장소로 푸시하려면 먼저 변경된 파일을 스테이징해야한다.
git add .
4. 커밋하기
변경 사항을 커밋하려면 아래 명령어를 입력
git commit -m "첫 커밋 메시지"
5. 로컬 저장소를 원격 저장소로 푸시하기
로컬 저장소의 커밋을 GitHub 원격 저장소에 푸시한다. 처음 푸시할 때는 -u 옵션을 사용하기 !
git push -u origin main
처음 푸시 이후에는 git push만 해준다.
git push
깃은 너무 어려웡. .
'IT 알쓸신잡'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밍 언어와 기술 ? (0) | 2025.03.04 |
---|---|
사용자 / 클라이언트 / 서버 (0) | 2025.02.19 |
프레임워크와 라이브러리의 차이점 (0) | 2025.01.01 |
동기 I/O와 비동기 I/O가 무엇일까? (2) | 2025.01.01 |
서버와 리소스 접근의 기초: IP, DNS, URL (0) | 2024.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