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기초 스터디 TA분의 발표를 듣고 네이버블로그에 게시글을 1년간 올렸던 나는
2024년12월26일 목요일. 티스토리로 갈아탔다.
그 이유는 네이버블로그는 구글 SEO가 제한적으로 적용이 된다는 것 때문이였다.
근데 SEO가 뭔데? CEO는 들어봤어도 SEO는 처음들어봤다. 띠이용
SEO란 Search Engine Optimization 즉 직역하면 검색 엔진 최적화라는 것이다.
웹사이트나 컨텐츠를 검색엔진(구글,네이버,등)에 잘 노출되도록 최적화 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네이버 블로그는 왜 구글 SEO가 제한적으로 적용될까?
- 네이버 블로그는 네이버 플랫폼 내에서 작동하는 폐쇄형 생태계며, URL 구조가 동적이고 네이버의 자체 검색 엔진 크롤러에 맞춰져 있어 구글 크롤러가 효율적으로 접근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 네이버가 사용하는 Robots.txt 정책 : 구글 크롤러의 접근을 제한
- 네이버 블로그는 blog.naver.com 하위 도메인을 사용하므로 독립 도메인보다 SEO에서 불리할 수 있다.
SEO의 목적
- 검색 결과에서 더 높은 순위를 차지하여 더 많은 사용자 트래픽을 얻는 것.
- 사용자가 특정 키워드로 검색할 때, 내 웹사이트가 상위에 나타나도록 돕는 것.
SEO의 작동 원리
검색 엔진은 웹사이트를 읽어들이고 데이터를 분석한 뒤, 가장 적합한 콘텐츠를 검색 결과 페이지에 노출한다.
SEO는 이 과정을 최적화해 검색 엔진이 내 콘텐츠를 더 잘 이해하고 높은 평가를 받도록 하는 기술과 전략이다.
키워드(Keywords)
사용자가 검색 엔진에 입력할 가능성이 높은 단어나 문구를 분석하여 콘텐츠에 포함시키는 전략
- 키워드 조사
도구를 사용하여 검색량이 높고 경쟁이 적당한 키워드를 찾는다.
( Google Keyword Planner, Ahrefs, SEMrush, 키워드마스터 등.)
온페이지(On-page) SEO
웹사이트 내부의 콘텐츠와 요소를 최적화하여 검색 엔진이 이해하기 쉽게 만드는 작업
- HTML 태그 최적화
- 제목 태그(Title Tag):
페이지 제목을 명확하고 매력적으로 작성. - 헤딩 태그(Heading Tags):
h1, h2, h3 등 계층 구조로 정보를 전달. - 메타 설명(Meta Description):
150~160자 이내로 페이지 내용을 요약.
- 제목 태그(Title Tag):
- 이미지 최적화
- 파일 이름에 키워드 사용: seoul-travel-guide.jpg
- Alt 속성 활용: <img src="seoul.jpg" alt="서울 여행 경복궁">
- URL 최적화
- 짧고 직관적으로 작성:
- 하이픈(-)으로 단어를 구분.
- 내부 링크 구조 개선
- 관련 콘텐츠로 연결하여 사용자와 검색 엔진이 사이트를 쉽게 탐색할 수 있도록 설정.
오프페이지(Off-page) SEO
웹사이트 외부에서 신뢰성과 인지도를 높이는 작업
- 백링크(Backlinks) 구축
- 다른 신뢰할 수 있는 웹사이트에서 내 웹사이트로 링크를 걸어주는 것.
- 백링크의 질과 양이 SEO 순위에 큰 영향을 미친다.
- SNS 마케팅
- SNS에서 콘텐츠를 공유하여 트래픽을 유도.
- 게스트 포스팅
- 다른 블로그나 웹사이트에 글을 기고하고, 내 사이트로 링크를 포함.
기술적 SEO (Technical SEO)
검색 엔진 크롤러가 사이트를 쉽게 탐색하고 색인(index)할 수 있도록 기술적인 요소를 개선
- 로딩 속도 개선
- 이미지를 압축하거나 CDN(Content Delivery Network)을 사용.
- Google PageSpeed Insights로 점검.
- 모바일 최적화
- 반응형 웹 디자인(Responsive Design) 사용.
- 구글의 모바일 친화성 테스트 도구 활용.
- SSL 인증서 설치
- HTTPS를 사용하여 보안성을 확보.
- 사이트맵 제출
- XML 사이트맵을 생성하여 검색 엔진에 제출
- 404 오류 및 리다이렉트 관리
- 깨진 링크(404 오류)를 수정하거나 적절히 리다이렉트(301) 설정.
사용자 경험(UX)
사용자가 웹사이트에서 긍정적인 경험을 할 수 있도록 개선하는 작업
- 콘텐츠 가독성 향상
- 간결하고 흥미로운 콘텐츠 작성.
- 글머리 기호, 번호 매기기 등으로 정보 구조화.
- 내비게이션 단순화
- 메뉴와 카테고리를 직관적으로 구성.
- 디자인 최적화
- 깨끗하고 시각적으로 매력적인 디자인.
- 버튼 크기, 폰트 크기 등 사용하기 쉬운 요소 배치.
- 호출 행동(CTA) 명확화
무료로 SEO 상태를 확인하고 분석하는 방법
검색 엔진 도구 활용 : 구글 서치 콘솔 (Google Search Console) https://search.google.com/search-console/welcome
- 검색 순위 확인: 특정 키워드로 내 웹사이트가 몇 번째에 노출되는지 확인.
- 클릭 수와 노출 수 분석: 사이트가 검색결과에서 얼마나 자주 클릭되었는지 확인.
- 색인 상태 확인: 내 사이트의 페이지가 구글에서 제대로 크롤링되고 있는지 확인.
- 문제 해결: 모바일 친화성, 속도 문제 등 검색 순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점검.
'IT 알쓸신잡'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레임워크와 라이브러리의 차이점 (0) | 2025.01.01 |
---|---|
동기 I/O와 비동기 I/O가 무엇일까? (2) | 2025.01.01 |
서버와 리소스 접근의 기초: IP, DNS, URL (0) | 2024.12.29 |
view 엔진이 무엇인가 (1) | 2024.12.27 |
FE 개발자가 무엇인가 (2) | 2024.12.27 |